경찰 등에 따르면 지난 25일 오전 11시 41분경 인천시 서구 당하동의 한 빌라 안 방에서 쓰러져 있는 10대 남학생 2명과 40대 부모 등 일가족 4명이 발견됐다.
당시 경찰과 소방당국은 문을 강제로 열고 들어가 확인했지만 학생 두 명은 이미 숨져있었다.
이들의 부모는 의식을 잃은 채 누워있어 119 구급대의 심폐소생술을 받으며 인근 병원에 옮겨졌지만 현재 뇌사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사고 현장에는 불에 탄 가연물질과 자필로 쓴 유서 등 극단적 선택을 의심케 하는 흔적이 발견됐다. 이중 유서에는 장례식을 치르지 말고 시신을 화장해 바다에 뿌려달라는 내용이 담겼다.
경찰 조사 결과 40대 부부는 확인된 별다른 직업 없이 빚이 있는 등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해당 가구는 기초생활수급자나 위기의심가구로 지정되지 않았다.
앞서 정부는 2014년 '송파 세 모녀 사건'을 기점으로 생활고에 시달리면서도 국가 지원을 못 받고 있는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스템을 구축해 위기의심가구를 발굴하고 있다.
단전, 단수, 건보료(건강보험료) 체납, 기초생활수급 탈락 및 중지, 금융 연체 등 34종의 위기 정보를 빅데이터로 수집·분석해 복지 사각지대 가구를 예측해왔다.
해당 가구는 34종 위기 정보에 한 번도 해당되지 않았으며, 약 10년 전 이사 온 이후에도 복지 상담 등 도움을 요청한 적이 없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경찰은 해당 부부가 실제로 생활고를 겪었는지 파악하기 위해 직업 유무와 채무 관계, 질병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다.
숨진 두 학생의 시신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부검 의뢰돼 28일 중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애들은 뭔 죄로~~
그리고 무엇 보다도 집 있으면 거의 안됩니다.
문제는 저리 몰려있으면 우울증인 경우가 흔해서 주도적인 행동에 나서기가 어렵다는거
복지의 딜레마
해줄수 있는거 아무것도 없다고 해서 글쿠나하고 나왔었는디
저기도 아마 동사무소 가서 물어봤어도 키보드 한번 두들겨보고 해당사항없네요해서 그냥 나왔을 확률 높을거다
그거 단순 조회 한번 했다고 자동으로 기록이 다 남는지는 모르겠는데
만약 공무원이 별도로 입력해야 되는 시스템이면 아마도 기록에도 안 남겼을거임